마늘 흰점, 곰팡이 제거후 먹어도 될까??

마늘을 보관하시다 보면 곰팡이가 발생하게 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집에서 요리를 하기 위해서 냉장고에서 마늘을 꺼냈을 때 꺼낸 마늘에 하얗고 파란 곰팡이가 핀 마늘들이 있습니다. 마늘의 곰팡이가 핀 부분만 제거하고 마늘을 음식에 사용해도 되는 것인지 고민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사실 이정도는 뭐 먹어도 안 죽겠지라는 생각으로 흐물해지고 곰팡이핀 부분만 가볍게 제거하고 요리에 사용하는 경우 많습니다. 이렇게 마늘의 곰팡이 핀 부분만 제거하고 먹어도 될까요?

마늘 흰점, 곰팡이 제거후 먹어도 될까

곰팡이 발생한 마늘은 버려야

곰팡이 발생 마늘 즉시 폐기

마늘의 곰팡이 피어 있는 부분이 보이게 된다면 즉시 폐기 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같이 보관한 다른 마늘의 경우에도 섭취를 자제해야 합니다. 마늘에 곰팡이가 생긴 경우라면 곰팡이 또는 물컹해진 부분만 도려내시고 먹어도 되겠지 하고 생각하시는 분들이 상당히 많습니다. 하지만 결론부터 말하자면 즉시 폐기하는 것이 좋습니다. 마늘의 곰팡이 피어 있는 부분을 제거하더라도 곰팡이 자체가 이미 마늘이 부패하기 시작했다는 신호이기 때문입니다. 곰팡이가 발생한 마늘을 섭취하게 된다면 체내에서 미코톡신 이라는 독성 화합물이 생성되면서 위장 질환 메스꺼움 복통 및 기타 알레르기 반응 등 부작용을 일으키게 될 수 있습니다. 또 이러한 마늘은 건강에도 좋지 않지만 품질 자체도 많이 저하되고 쓴맛이나 좋지 않은 맛이 납니다.

보관해둔 딸기에 일부 곰팡이 발생하게 되는 경우에도 난감한 상황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아래 관련글 내용 알아보시면 좋은 참고가 될 수 있습니다.

관련글 : 딸기 곰팡이 제거, 물러진 딸기 먹어도 될까?

함께 보관한 마늘도 폐기

특히 곰팡이 핀 마늘의 경우에는 함께 보관했던 다른 마늘에 곰팡이가 생기지 않았더라도 함께 버리는 것이 좋은데 이는 곰팡이의 포자가 근처 마늘까지 퍼졌을 가능성이 있기 때문입니다. 많은 사람들이 곰팡이를 실수로 소량 섭취하더라도 건강에 큰 문제가 발생하거나 하지는 않습니다. 하지만 천식이나 호흡기 질환으로 인해서 곰팡이 알레르기에 취약하거나 항암치료 환자처럼 면역력이 부족한 사람들은 특히 호흡기 질환이나 폐 질환 등을 일으킬 수 있으므로 최대한 주의하시는 것이 중요합니다.

마늘은 일반 집에서도 많이 보관하시면서 드시는 식품 입니다. 오래보관할 수 있는 방법들이 있으므로 아래 관련글 참고 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관련글 : 마늘 쉽게 까는법, 오래 보관 법!!

싹난 마늘 이상없이 섭취

한편 마늘을 보관하는 동안 싹이 나기도 하는데  마늘에 난 싹은 감자처럼 독성이 있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마늘에 싹이 났다고 해서 폐기할 필요는 없습니다. 하지만  다만 마늘에 싹이 나면 수분이 빠지기 쉬워 모양이 쭈글쭈글해지고 맛이 떨어지는 등 품질이 나빠질 수 있으므로 별로 마늘 특유의 맛을 잃었을 것 입니다.

마늘은 거의 매일 먹게 되는 허브 양념 종류 인데 음식의 양념으로 많이 들어가 있어서 자신도 모르게 많이 먹고 있는 음식 종류 입니다. 아래 관련글 내용 마늘 냄새 원인 없애는 방법 알아두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관련글 : 마늘 냄새 원인 없애는 방법

습한곳 보관 피해야

깐마늘의 경우에는 통마늘에 비해서 곰팡이의 발생에 대한 위험이 커지게 됩니다. 마늘은 습한 곳에 보관 피해야 합니다. 통마늘에 비해서 깐마늘의 경우에는 곰팡이가 발생할 위험이 큽니다. 이는 마늘 껍질에 함유된 페놀성 화합물 때문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페놀성 화합물의 경우에는 살균의 효과가 있어서 곰팡이 포자 증식을 막는 등 천연 항산화제 역할을 하게 됩니다. 또한 기본적으로 마늘은 껍질을 벗기는 순간부터 곰팡이에 취약해지는 효과가 있습니다. 껍질을 벗길 때 조직이 손상되기 때문입니다. 조직이 손상된 깐마늘은 무게 향 손실 표면 변색 곰팡이 등 미생물로 인한 손상으로 인해서 유통기한이 단축되는 효과가 있습니다. 따라서 마늘을 보관할 때는 아무래도 껍질을 벗기지 않고 보관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서늘하고 건조하고 상온보관

마늘 껍질을 벗기면 조직이 손상되며 또한 표면이 노출되면서 미생물이 증식하게 되면서 껍질이 있는 마늘보다 곰팡이가 피는 환경이 더 쉽게 조성될 수 있습니다. 마늘을 보관할 때 흔히 냉장 보관을 하지 않도록 하시고 서늘하고 건조하고 어두운 상온에 보관해야 합니다. 냉장고의 온도보다는 습도가 문제 되기 때문입니다. 마늘을 보관할 때 가장 주의해야 할 부분은 습한 환경을 피하는 것이며 곰팡이의 발생은 아무래도 습한 환경에서 번식하기 때문 입니다.

마늘쫑의 경우에도 마늘 못지 않게 다양하게 드시고 있는 음식 종류 입니다. 아래 글에서 마늘쫑 내용 참고 하시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관련글 : 마늘쫑 영양성분, 요리 반찬 먹는법

마늘 보관 방법

오랜동안 싱싱한 통마늘을 드시기 위한 보관방법으로 메시 백 즉 구멍이 뚫린 망사형 가방에 담아서 보관하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또한 통풍이 잘되는 메시 백에 마늘을 보관하게 된다면 마늘의 변색이나 미생물 번식을 줄일 수 있습니다. 깐마늘의 경우에는 통마늘과는 다르게 밀폐된 용기에 키친타월을 깔아주시고 뚜껑을 닫아서 습기를 차단한 채로 0~4℃ 사이에서 냉장 보관을 하는 것이 좋습니다.

마늘 흰점, 곰팡이 발생한 마늘 마무리

마늘에 흰점이 발생하게 된 곰팡이가 발생한 마늘의 경우 곰팡이 부위를 제거하고 드시는 경우들이 많이 있습니다. 하지만 이런 곰팡이 부분만 제거한다고 해서 안전한게 아니라 이미 포자가 퍼져 있기 때문에 폐기처분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같이 보관했던 마늘 전체에 포자가 퍼져 있기 때문에 버리는 것이 좋습니다.

곰팡이 핀 마늘을 먹게 된다면 소량은 상관 없지만 면역력이 약한 사람의 경우 복통이나 천식 호흡기 질환에 걸리게 될 수도 있습니다. 반면 마늘에 싹이 나있는 경우에는 별상관 없이 드셔도 좋지만 특유의 마늘 맛을 잃었기 때문에 별로 맛이 없고 마늘은 서늘하고 햇빛이 없는 곳에 상온으로 보관하시면 싱싱하게 오랜 동안 보관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