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채 채소 차이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야채 채소 차이를 알아보신다면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에 검색을 해보신다면 정확한 표현이 나와 있으며 채소는 명사로 밭에서 기르는 농작물을 이야기 하며 보리나 밀 따위의 곡류는 제외하며 야채의 경우에는 들에서 자라나는 나물로 나와 있습니다. 야채의 의미가 좀 더 큰 것으로 해석될 수 있습니다. 아래 글에서 야채 채소 차이 알아보겠습니다.

야채 채소 차이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혼란스러운 단어

일상 생활에서 흔하게 사용하는 단어에도 사실 잘 알지 못하는 단어들이 있는 것이 사실 입니다. 특히 뉴스에서도 야채 라고 했다가 채소라고 하는 경우도 있으니 일반인들의 경우 더 혼란스러운 단어이기도 합니다. 야채와 채소가 다른 점들이 무엇인지 잘 알지 못하고 특히 어떤 단어를 사용해야 할지 알맞는 표현인지 잘 모르는 경우들이 있습니다.

근거 없는 주장

야채는 들 야 자에 나물 채 즉 들에서 자라나는 나물이라는 의미 입니다. 하지만 일본에서도 같은 한자에 야사이 라고 표현하기 때문에 일본식 한자어라는 말도 있는 것이 사실입니다. 하지만 주장을 뒷받침 할 만한 근거가 없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우리나라의 다양한 특성상 일본어 표현은 상당한 거부감이 있기 때문에 정당한 근거가 있는 경우 사용을 거의 하지 않고 우리말 표준어를 사용하는것이 일반적인 사항이기도 합니다.

야채와 채소 라는 단어로 국립국어원에서 검색을 해보시면 정확한 의미가 나와 있습니다.

채소(菜蔬)「명사」 밭에서 기르는 농작물. 주로 그 잎이나 줄기, 열매 따위를 식용한다. 보리나 밀 따위의 곡류는 제외한다.≒남새 이렇게 알려져 있습니다.

야채(野菜)「명사」 들에서 자라나는 나물.

채소는 나물 ‘채’와 푸성귀 ‘소’자가 만나서 그야말로 ‘나물’ 그 자체 이며 구분하게 된다면 야채는 들에서 채소는 주로 밭에서 기르는 농작물 정도로 구분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또한 국립국어원에서도 야채와 채소, 모두 표준어로 인정하고 있는 단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야채와 채소

야채가 채소보다 뜻이 더 많은데 정확히 알고 사용하시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야채(들 야野 / 나물 채菜)에는 두 가지 뜻이 있습니다. 들에서 자라나는 나물 채소(菜蔬)를 일상적으로 이르는 말이며 반면 채소(나물 채菜 / 푸성귀 소蔬)의 뜻은 한 가지 입니다. 밭에서 기르는 농작물이며 주로 그 잎이나 줄기, 열매 따위는 식용 한다. 야채는 들+밭 에서 나는 나물이고, 채소는 밭에서 나는 나물이라는 의미 입니다. 채소 라는 단어로는 야채가 가진 뜻을 완전히 표현할 수 없는 사항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표준어로 등재

이처럼 야채와 채소의 뜻이 사전적으로 완전히 동일하지 않습니다. 국립국어원은 야채와 채소를 모두 표준어로 등재했습니다. 따라서 야채라는 표현을 사용해도 좋고 채소라는 단어를 사용해도 좋습니다. 다만 야채가 좀더 넓은 의미이며 둘 다 우리나라에서 사용하면 맞는 단어 입니다. 순우리말로는 남새 라고도 불리우고 있습니다. 특히 북한에서는 여전히 남새라는 표현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야채, 채소, 남새, 모두 비슷한 의미로 사용되고 있는 우리나라 표준어 입니다.

야채, 채소, 푸성귀, 남새의 경우에는 식물성 식품의 한 분류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식물의 종자인 곡식과 열매인 과일이 아닌 식물성 식품을 이야기 합니다.

주로 잎, 줄기, 뿌리가 섭취 대상이지만 수박, 참외, 토마토, 오이 등의 열매 채소 과일채소, 과채류도 있습니다. 또한 균류인 버섯을 포함하기도 합니다.